centos 7에 mysql 8.0.32 버전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mysql 설치에 필요한 파일부터 다운로드 받습니다.
wget https://dev.mysql.com/get/Downloads/MySQL-8.0/mysql-8.0.32-linux-glibc2.12-x86_64.tar.xz
위 명령어를 통해 설치를 받거나
https://dev.mysql.com/downloads/mysql/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한 후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Select Operating System -> Linux - Generic 설정
(mysql-8.0.32-linux-glibc2.12-x86_64.tar.xz) Download
** 설치를 하기 위해서 root 계정 또는 sudo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1. mysql 설치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mysql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libaio 패키지가 필요합니다.
sudo yum install -y libaio
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libaio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 설치 후 tar 명령어를 사용하여 해당 파일의 압축을 해제합니다.
tar -xvf mysql-8.0.32-linux-glibc2.12-x86_64
3. 압축을 해제한 후 해당 폴더를 /usr/local 경로로 이동시킵니다.
sudo mv mysql-8.0.32-linux-glibc2.12-x86_64 /usr/local/mysql
4. mysql에서 사용 할 data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data 디렉토리는 mysql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소로 용량이 많은 경로에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udo mkdir -p (데이터 경로)
5. mysql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sudo useradd mysql
6. mysql data 디렉토리에 생성한 사용자 계정 권한을 부여합니다.
chown -R mysql:mysql (데이터 경로)
7. 다음으로 mysql의 초기화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sudo /usr/local/mysql/bin/mysqld --initialize-insecure --user=mysql --basedir=/usr/local/mysql --datadir=(데이터 경로)
--user -> 생성한 사용자 계정
--basedir -> mysql 폴더 경로
--datadir -> mysql 데이터 경로
초기화 스크립트를 실행한 후 mysql 데이터 경로에 들어가면 위 사진처럼 초기화가 완료되어 파일이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 mysql을 실행하기 전 log 경로를 설정해보겠습니다.
sudo vi /etc/my.cnf
my.cnf 파일을 열고 [mysqld] 에서 설정을 추가합니다.
[mysqld]
datadir=(mysql 데이터경로)
socket=/var/lib/mysql/mysql.sock
[mysqld_safe]
log_error=/var/log/mysql/error.log
pid-file=/var/run/mysql/mysql.pid
datadir -> mysql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경로를 입력합니다.
socket -> MySQL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파일로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값으로 /tmp/mysql.sock 을 사용합니다.
log_error -> MySQL 서버에서 발생하는 모든 오류와 경고 메시지를 기록하는 데 사용합니다.
pid-file -> MySQL 서버의 프로세스 ID(PID) 파일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MySQL 서버는 pid-file 에 정의된 파일에 자신의 PID를 쓰게 됩니다.
위 설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로 설정할 수 있고, 디렉토리 경로와 권한 부여가 제대로 되어있다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9. mysql 서버 실행
my.cnf 설정이 끝난 후 mysql 서버를 실행합니다.
sudo /usr/local/mysql/bin/mysqld_safe --user=mysql &
mysql 계정으로 실행할 것이기 때문에 --user 부분에 mysql을 추가합니다.
mysql의 기본 port가 3306 이기 때문에 3306 포트를 기준으로 서버가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0. MySQL 클라이언트를 설치합니다.
MySQL 서버에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명령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sudo ln -s /usr/local/mysql/bin/mysql /usr/bin/mysql
MySQL 바이너리 파일인 'mysql' 에 대한 심볼릭 링크를 /usr/bin/mysql로 하여 생성합니다.
보통 /usr/bin 디렉토리가 $PATH 환경 변수에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mysql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mysql --socket=/var/lib/mysql/mysql.sock(mysql sock 경로)
심볼릭 링크 설정이 끝난 후 mysql 계정으로 접속하여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사진과 같이 mysql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RDBMS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계정 설정 및 데이터베이스 설정 (0) | 2023.04.16 |
---|---|
tar 파일로 설치한 MySQL 서비스에 등록하기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