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doop을 구축할 때 여러 서버를 사용해야하는데 고정 IP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IP가 동적으로 바뀌는 현상이 생겨 고정IP를 지정하여 서버들을 연동하면 좀 더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우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root 계정의 권한이 필요하므로 root 계정으로 접속한 후 작업을 진행합니다.
root 계정으로 접속한 후 /etc/sysconfig/network-script/ 경로로 이동합니다.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파일을 조회하면 위 사진과 같이 ifcfg-*,ifdown-*,ifup-* 파일들이 있습니다.
ifup, ifdown 은 이더넷 카드의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 ifcfg-* 파일의 설정을 유지한 채로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거나 다운시키는 작업을 합니다.
ifup 이더넷 이름 -> 해당 이더넷을 활성화 시킵니다.
ifdown 이더넷 이름 -> 해당 이더넷을 비활성화 시킵니다.
ifcfg-* 파일은 구성된 이더넷에 대한 설정으로 고정 ip를 할당하기 위해 해당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현재 위 서버는 192.168.245.132로 ip가 할당되어 있고, ens33이라는 이더넷에 설정되어 있습니다.
고정 ip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ens33의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ifcfg-ens33 파일로 들어가 BOOTPROTO 및 IPADDR을 변경 및 추가해주면 고정 IP가 할당됩니다.
BOOTPROTO의 값이 dhcp로 되어있는 경우 동적으로 IP가 할당되기 때문에, none 또는 static 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IPADDR에는 IP로 사용하고자 하는 고정 IP를 입력합니다.
이후 변경한 이더넷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network를 재 실행합니다.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이더넷을 조회해보면 성공적으로 132번에서 133번으로 IP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workstation player 포트포워딩 (0) | 2023.03.25 |
---|---|
서버 시간 지역 설정 ( Seoul로 설정 ) (0) | 2021.09.08 |
Anaconda, jupyternotebook 설치 ( Centos 7 ) (0) | 2021.09.08 |
하둡 분산저장 + 분산처리 확인 ( 미항공데이터 + 맵리듀스 wordcount ) + 윈도우 리눅스 연동( 파일 전송, 호스트 설정 ) (0) | 2020.10.22 |
IPV4 ,IPV6 설정 및 Swap Memory, 시스템 파일 개수 설정 (하드링크, 소프트 링크)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