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vmware workstation player 포트포워딩

vmware를 통해 서버를 만들게 되면, 가상서버를 만든 host 이외에는 가상서버에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host 말고 외부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vmware workstation player 15 버전을 기준으로 포트포워딩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downloads/details?downloadGroup=PLAYER-1557&productId=800&rPId=55787 

 

https://customerconnect.vmware.com/downloads/details?downloadGroup=PLAYER-1557&productId=800&rPId=55787

Your browser is not supported on VMware Customer Connect. For the best experience, we recommend using one of these browsers.

customerconnect.vmware.com

위 사이트에서 15.5.7 버전을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포트 포워딩을 하기 위해서는 사진과 같이 Virtual Network Editor를 이용하여 설정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vmware workstation player의 경우 자체 Editor 기능이 없어서 가상 네트워크 편집기인 vmnetcfg 를 사용해야 합니다.

 

https://www.tobias-hartmann.net/2018/12/download-vmnetcfg-exe-fuer-vmware-workstation-15-x-player/

 

Download vmnetcfg.exe für VMware Workstation 15.x Player

Download vmnetcfg.exe für VMware Workstation 15.x Player. Der Virtual Network Editor für den VMware Player 15.5.X zum herunterladen!

www.tobias-hartmann.net

위 사이트를 통해서 vmware 버전에 맞는 vmnetcfg 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 후 vmnetcfg 파일은 vmware 가 설치된 경로에 옮기면 됩니다.

 ** 보통 Program Files (x86)\VMware\VMware Player에 설치됩니다.

 

 

옮긴 후 실행하게되면 위 이미지와 같이 창이 하나 뜨게 되는데, 여기서 Change Setting을 눌러 수정 모드로 들어갑니다.

 

수정모드에 진입한 후 192.168.88.x 로 시작하는 서버를 포트포워딩하기 위해 Subnet Address가 192.168.88.0인 목록을 클릭하고 NAT Settings를 클릭하여 포트를 등록합니다.

 

NAT Settings 페이지에서 add를 누르게 되면 위 사진과 같이 port, ip 등 포트포워딩 설정을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Host port : 가상머신을 기동 시킨 host에서 사용할 port

Virtual machine IP address : 포트포워딩을 진행 할 서버의 ip

Virtual machine Port : 포트포워딩을 진행 할 서버의 port

 

 

저는 가상서버의 80번 포트를 1234 포트로 포트포워딩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위 사진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설정 후 해당 사항을 적용시켜주면 host가 아닌 외부에서도 해당 포트에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