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정 IP 할당 방법 Hadoop을 구축할 때 여러 서버를 사용해야하는데 고정 IP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 IP가 동적으로 바뀌는 현상이 생겨 고정IP를 지정하여 서버들을 연동하면 좀 더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우선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root 계정의 권한이 필요하므로 root 계정으로 접속한 후 작업을 진행합니다. root 계정으로 접속한 후 /etc/sysconfig/network-script/ 경로로 이동합니다.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파일을 조회하면 위 사진과 같이 ifcfg-*,ifdown-*,ifup-* 파일들이 있습니다. ifup, ifdown 은 이더넷 카드의 현재 설정을 유지한 채 ifcfg-* 파일의 설정을 유지한 채로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거나 다운시키는 작업을 합니다. ifup 이더넷 이름 ->.. Postgresql 간단 명령어 ( + psql 명령어 ) psql 명령어 psql - localhost의 5432 port로 Postgresql에 접속합니다. postgres 계정으로 실행 시 postgres 아이디로 접속 psql -U test - localhost의 5432 port로 Postgresql에 접속합니다. -U 뒤에 붙여지는 아이디로 접속 ( test 계정으로 접속 ) psql -U test -d testdb - localhost의 5432 port, test계정의 testdb database로 접속합니다. -U ID명, -d DB명 psql -p 1234 -U test -d testdb - localhost의 1234 port, test 계정의 testdb database로 접속합니다. -p port 번호, -U ID명, -d DB명 psql.. Postgresql 설치 ( Linux ) 1. Postgresql 설치 Postgresql 11버전을 설치하기 위해 repository를 먼저 적용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repository가 적용됩니다. sudo rpm -Uvh https://download.postgresql.org/pub/repos/yum/reporpms/EL-7-x86_64/pgdg-redhat-repo-latest.noarch.rpm 이후 yum repolist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해보면 위 사진과 같이 적용한 결과가 나옵니다. 9.6 ~ 13 버전까지 repolist가 등록되었습니다. 성공적으로 repolist가 적용되었다면, 이제 postgresql 11버전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yum install postgresql11-server postgresq.. 이전 1 ··· 3 4 5 6 7 8 9 ··· 18 다음